혈전 발생경향을 배제하거나 혈전증과 연관된 질환을 진단하는 것에 도움이 되기 위해 검사합니다.
D이합체(dimer)
혈전발생의 증상이 있거나 심부정맥혈전증(DVT), 폐색전증(PE), 파종성혈관내응고(DIC) 같은 급성 혹은 만성의 부적절한 혈전이 형성되는 질환을 가지고 있을 때, 또는 파종성혈관내응고 및 다른 혈전질환의 경과와 치료를 모니터링할 때 진단합니다.
정맥혈액
특이사항 없습니다.
-
검사 결과는 어떻게 활용됩니까?
D-이합체는 혈전의 존재를 배제하기 위하여 다른 검사실 검사와 영상 검사와 함께 처방됩니다. D-이합체 검사가 배제하는 데 도움을 주는 다른 일부 질환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심부정맥혈전증
- 폐색전증
- 뇌졸중
이 검사는 부적절하게 응고되는 경향인 과응고 상태를 야기하는 질병의 진단에 도움이 되는 추가 검사가 필요한지 결정해줍니다.
D-이합체의 농도는 파종성혈관내응고를 진단하고 이에 대한 치료 효과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
검사는 언제 하게 됩니까?
D-이합체 검사는 다음과 같은심부정맥혈전증의 증상을 갖는 사람에게 처방됩니다:
- 다리의 통증이나 압통 (대개는 한쪽 다리)
- 다리의 팽창, 부종
- 다리의 변색
다음과 같은 폐색전증의 증상을 보이는 사람에게도 처방될 수 있습니다 :
- 갑작스러운 호흡 곤란, 힘든 호흡
- 기침, 객혈(가래에 피가 섞임)
- 폐 연관 흉통
- 빠른 심박동수
D-이합체는 심부정맥혈전증이나 폐색전증 이외의 질환이 증상을 유발한다고 생각될 때 특히 유용합니다. 이는 비정상적 혹은 과도한 응고를 배제하기 위한 빠르고, 비침습적인 방법입니다.
어떤 사람이 잇몸출혈, 오심, 구토, 심한 근육통, 복통, 간질 및 요량의 감소 등과 같은 파종성혈관내응고 증상을 가지고 있다면, 질환을 진단하기 위해, 프로트롬빈시간, 부분트롬보플라스틴시간, 섬유소원, 혈소판수 검사와 함께 D-이합체 검사가 처방됩니다. D-이합체는 파종성혈관내응고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에서 이의 추이를 관찰하기 위해 간격을 두고 처방되기도 합니다.
-
검사 결과의 의미는 무엇입니까?
D-이합체 결과가 정상이거나 음성인 경우는, 검사를 받은 사람이 비정상적인 혈전의 형성이나 분해를 일으키는 급성 질환을 가지고 있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대부분의 의사는 혈전증의 위험이 낮거나 중등도인 것으로 생각되는 사람에서 실시되었을 때 D-이합체 음성이 가장 유효하고 유용하다는 것에 동의합니다. 이 검사는 혈전을 증상의 원인에서 배제하기 위해 이용됩니다.
D-이합체 검사 양성은 섬유소원 분해산물이 비정상적으로 고농도로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의사에게 인체 어딘가에서 혈전 형성과 분해가 이루어지는 것을 말해주지만, 부위나 원인을 알려주지는 않습니다. 이는 예를 들어 정맥혈전색전증 혹은 파종성혈관내응고에 의해서 생길 수 있습니다. 보통 D-이합체는 파종성혈관내응고에서 매우 증가됩니다.
그러나 상승된 D-이합체결과가 항상 혈전의 존재를 의미하지는 않는데, 왜냐하면 여러 다른 요인들도 농도를 상승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전에 혈전이 형성되고 파괴되는 몇가지 상황에서도 수치가 상승할 수 있는데, 최근의 수술, 외상, 감염, 심장질환, 일부 종양, 그리고 간 질환 같은 섬유소가 깨끗하게 제거되지 않는 상황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D-이합체는 대체로 입원환자에서 정맥혈전색전증을 배제하기 위해 사용되지는 않습니다.
임신도 또한 혈전을 형성하고 분해시켜서 D-이합체 농도의 상승을 유발하는 상황입니다. 그러나 임신 중이거나 분만직후의 여성에서 파종성혈관내응고가 의심될 때는 진단을 위해 프로트롬빈 시간, 부분트롬보플라스틴 시간, 섬유소, 혈소판 수와 함께D-이합체 검사가 이용될 수 있습니다. 그 여성이 파종성혈관내응고가 있다면 그녀의 D-이합체 수치는 매우 상승됩니다.
D-이합체는 부가적인 검사로 추천됩니다. 이것이 질환이나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유일한 검사일 수는 없습니다. 상승되거나 정상인 D-이합체 수치는 반드시 모니터링 해야 하고 다른 추가검사를 시행하도록 해야 합니다.
이 검사가 파종성혈관내응고 치료를 모니터링 하기 위해 쓰일 경우 감소된 수치는 치료가 효과적이라는 것을 의미하고, 반면에 증가된 수치는 치료가 효과 없다는 것을 말합니다.
-
그 외 중요한 것이 있습니까?
D-이합체 검사는 노인에서 정상적으로 상승할 수 있고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관찰되는 단백질인 류마티스 인자가 고농도로 존재할 때 위양성을 보입니다. 높은 중성지방, 지질혈증, 빌리루빈 같은 물질이 있을 때에도 위양성을 일으키고, 검체 채취와 취급이 부적절해서 생긴 용혈의 경우도 위양성을 야기합니다.
D-이합체를 검사하는 여러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병원 검사실에서는 대부분 정량적인 결과를 내는 검사를 하고, 환자의 병상에서는 (현장검사) 정성이나 반정량 결과를 내는 검사가 시행됩니다.
-
부적절한 혈액 응고를 일으키는 흔한 위험요소는 무엇입니까?
몇몇 위험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대수술 혹은 외상
- 입원 혹은 요양시설에의 거주
- 오랫동안 움직이지 않는 상태 - 비행기, 자동차 등을 이용한 긴 여행 등, 장기간의 침상 안정
- 피임약이나 호르몬 보충 치료
- 골절, 깁스
- 임신 혹은 최근의 출산
- 항인지질항체 증후군
- 특정 종양
- 응고인자 V 라이덴 돌연변이 같은 유전적인 응고 질환
-
D-이합체가 양성일 경우 의사가 처방하는 다른 시술은 무엇입니까?
응급실에서 당신이 혈전이나 정맥혈전색전증의 위험도가 낮거나 중등도이고 D-이합체 검사가 양성이라면, 의사가 정맥초음파나 CT 혈관조영술 같은 비침습적인 영상 검사를 처방할 것입니다. 부가적인 시술로 환기/관류 스캔이나 폐혈관조영술 같은 것이 포함될 수도 있습니다. 이에 대해 추가적으로 확인하려면 Radiologyinfo.org: Heart and Vascular 를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