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V는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인 에이즈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를 유발하는 바이러스입니다. 처음에는 HIV 감염으로 증상이 나타나지 않거나 단기간에 해소되는 비특이적인 독감과 같은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HIV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유일한 방법은 HIV 검사입니다.
감염이 확인되지 않고 치료되지 않으면 결국 에이즈 증상이 나타나 점차적으로 악화되기 시작합니다. 치료를 받지 않으면 HIV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면역체계를 파괴하여 신체가 감염에 취약하게 됩니다.
HIV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전염됩니다.
- 감염된 파트너와의 성관계
- 바늘이나 주사기를 공유(정맥 주사 약물 남용)
- 임신 또는 출산 중; 임산부가 HIV에 감염된 경우 바이러스는 태아를 감염시킬 수 있습니다.
- 감염된 혈액과의 접촉을 통해
- 오늘날 미국에서는 수혈을 위한 혈액 선별검사 및 기타 혈액 제제에서 열처리 기술과 다른 처치를 시행하기 때문에 수혈로 인한 HIV 감염 위험은 매우 낮습니다. 그러나 미국에서 1985년 초 헌혈된 혈액이 선별되기 전, 그리고 factor 8과 알부민 같은 일부 혈액 제제에서 HIV를 제거하는 방법이 도입되기 전에는 HIV는 오염된 혈액이나 혈액 성분의 수혈을 통해 전염되었습니다.
선별검사의 목적
HIV 검사는 현재 미국 내 일상적인 건강 관리의 일부이며 건강과 예방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는 감염 초기에 진단을 받으면 적시에 효과적인 치료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에이즈로 진행할 위험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2015년에 발표된 미국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IH)의 주요 임상시험 결과에 따르면 HIV 감염자에서 항레트로바이러스제 치료를 일찍 시작하는 경우 에이즈 및 기타 심각한 질병으로 발전할 위험이 낮아집니다.
조기 진단은 다른 사람들과 사회에 큰 이익이 됩니다. 수천 명의 사람들이 매년 HIV로 진단 받고 있으며, HIV 감염자 중 약 8 명 중 1 명이 HIV 검사를 받았다는 것을 모르고 있습니다. 개인은 자신의 상태를 알고, 행동을 수정하며 감염된 혈액이나 체액에 다른 사람을 노출시키지 않으면 서 질병 전파를 막을 수 있습니다. HIV가 있는 임산부는 질병을 자녀에게 전파시키지 않도록 치료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HIV 선별검사에서 감염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감염을 피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HIV 음성이나 HIV에 걸릴 위험이 높은 사람들을 위해 미국질병관리본부(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와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노출 전 예방제(Pre-exposure prophylaxis, PrEP)의 복용을 고려할 것을 권고하며, 매일 복용은 감염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지속적으로 PrEP을 복용하는 사람들에게 HIV 감염 위험은 복용하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현저히 낮습니다.
위험 파악
HIV에 걸릴 위험이 높은 여러 상황이 있습니다.
- 한 명 이상의 파트너와 콘돔을 사용하지 않은 성관계를 해왔다.
- 감염된 파트너와 성관계를 맺을 때 HIV 감염에 감염될 위험을 높이는 성병(STD)이 있거나 있어왔다.
- 다른 남자와 성적 접촉을 한 남성이다.
- 돈이나 마약을 대가로 성관계를 했거나 익명의 성관계를 했습니다.
- 주사 약물을 사용하거나 사용했으며 소독되지 않은 주사 바늘을 공유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성적 파트너가 HIV 양성입니다.
- 위에 열거 된 범주 중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과 성관계를 가졌거나 성적 파트너의 위험 행동에 대해 확신이 서지 않습니다.
- 간염 또는 결핵으로 진단받거나 치료를 받은 적이 있습니다.
얼마나 자주 검사를 받아야 하는지는 위험 요소, 활동 및 성적 접촉에 달려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장기간에 걸쳐 정말로 한 상대와만 성관계를 한다면, 단 한 번의 검사만 받아도 됩니다. 그러나 당신 또는 파트너가 최근 몇 달 동안 둘 이상의 상대와 성적 접촉을 한 경우, 감염 위험이 더 커집니다. 당신 또는 당신이 성적 접촉(심지어 원하지 않는 성적 접촉)을 한 사람이 위험한 행동을 하는 경우, 검사를 받아야 하는 이유가 더 많아집니다.
선별 검사
HIV 선별 검사에 여러 종류의 검사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HIV 항체와 HIV 항원 검사의 통합- 이것은 HIV 검사에 권장되는 검사입니다. 혈액 검사로만 가능합니다. 이 검사는 p24라고 불리는 HIV 항원과 HIV-1과 HIV-2에 대한 항체를 검출합니다. (HIV-1은 미국에서 발견되는 가장 일반적인 종류이며, HIV-2는 아프리카 일부 지역에서 더 높은 유병률을 보입니다.) 항체와 항원을 모두 검출함으로써 노출 후 조기에 감염을 발견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 검사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노출 후 2-6주부터 HIV 감염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 HIV 항체 검사 - 미국에서 사용되는 모든 HIV 항체 검사는 HIV-1을 감지하며, 몇 가지 검사는 HIV-2도 발견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습니다. 이 검사는 혈액 검사 또는 타액 검사로 시행할 수 있습니다. HIV 항체 검사는 대부분의 사람에서 노출 3-12주 후에 감염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검사를 받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혈액이나 구강 검체는 의료 서비스 기관이나 지역 클리닉에서 수집하여 검사실로 보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동일한 상황에서 약 20분 내에 결과가 보고되는 신속 검사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미국 식품의약국(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에서 승인한 가정 수집 키트는 HIV 항체 검사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가정에서 샘플을 채취해서 검사실에 우편으로 보낼 수 있습니다. 적절한 상담과 함께 전화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FDA는 가정용 HIV 검사를 승인했습니다. 검사 키트는 검사를 위해 구강 샘플을 수집하고 결과를 약 20분 내에 결과가 보고되는 많은 의료 서비스 제공자의 진료소 및 클리닉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합니다. 가정용 검사는 편리하지만 한계가 있습니다. 혈액 검사보다 덜 민감하기 때문에 가정용 검사는 혈액 검사에서 발견 할 수 있는 일부 HIV 사례를 놓칠 수 있으며 가정에서 비전문가가 시행할 때는 숙련된 의료 전문가가 시행할 때보다 정확하지 않습니다. 검사를 시행할 때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가정용 검사, 오류 방지에 관한 글을 참조하십시오.)
선별 검사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다음 사항을 명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선별 검사가 음성이면 검사 당시 질병의 증거가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HIV 감염 위험이 높지만 검사 결과가 음성인 경우에는 정기적으로 선별 검사를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HIV 검사는 감염 후 즉시 바이러스를 검출하지는 않습니다. 그래도 감염된 것으로 생각되면 즉시 의사의 진찰을 받으십시오. 바이러스에 최근에 노출되었다면 항체 수치가 너무 낮아 검출할 수 없습니다. 초기 검사가 음성이면 나중에 다른 항체 검사 또는 HIV 항체 / 항원 통합 검사로 다시 검사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음성 결과가 나온 경우, CDC는 가능성이 높은 노출로부터 3 개월 후에 재검사 할 것을 권장합니다.
- 선별검사가 양성이라고 진단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HIV-1과 HIV-2를 구별하여 진단하는 두 번째 항체 검사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HIV 선별검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HIV 항체 및 p24 항원에 대한 글을 참조하십시오.
선별검사 권고사항
- 미국 질병관리본부(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는 13세에서 64세까지의 모든 사람들에게 적어도 한 번은 HIV 선별 검사를 받을 것을 권장합니다. CDC는 감염의 위험이 높고 질병을 전파시킬 수 있는 활동에 종사하는 경우 매년 검사를 받을 것을 권장합니다. 또한 다른 남성과 성적 접촉이 있는 남성은 3개월에서 6개월마다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 미국 질병예방 특별위원회(United State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USPSTF)는 15 세에서 65세 사이의 모든 청소년과 성인에서 HIV 감염 여부를 검사하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위험이 높은 어린 청소년과 노인들도 HIV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권고합니다. 특별위원회(Task Force)는 15세부터 65세까지의 모든 사람들을 대상으로는 1회의 검사가 합리적이며, 남성과 성관계를 갖는 남성, 주사 약물 사용자, HIV 감염률이 높은 지역에서 거주하고 있거나 치료를 받는 사람과 같이 HIV 초고위험군은 적어도 매년 검사를 받을 것을 권고합니다. 또한 초고위험군은 아니지만 감염 위험이 높은 사람은 매년은 아니더라도 자주 검사를 받아야 하며, 미국 질병예방 특별위원회(USPSTF)는 지침에 따라 3-5년마다를 권고하고 있습니다. 특별위원회 는 위험은 "지속적인"것이며, 의료인은 HIV 양성자를 얼마나 자주 검사할지에 대해 재량에 따라 판단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 미국 의사협회(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는 13세에서 64세 사이의 모든 사람들이 의료 환경에서 HIV 선별 검사를 받도록 하는 CDC의 의견에 동의합니다. 또한 의료진은 반복 검사의 빈도를 재량에 따라 결정해야 한다고 권고합니다.
- 미국 소아과학회(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AAP)는 성생활을 하는 모든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HIV 검사를 권장합니다. 또한 AAP는 유병률이 높은 지역(1000명 중 1명 이상이 감염된 곳)에 거주하는 10대 청소년을 대상으로 16세부터 통상 검사를 권장합니다.
- 임산부를 위한 권고 사항은 임신에 관한 글을 참조하십시오.
이러한 권장 사항과는 별도로 특정한 사람은 검사를 받고 자신의 상태에 대해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러한 사람들은 다음의 경우를 포함합니다.
- 간염, 결핵 또는 성병으로 진단받은 사람들
- 1985년 이전에 수혈을 받았거나 성 파트너가 수혈을 받은 후에 HIV 검사에서 양성으로 나온 사람들
- 혈액에 직접 노출되는 업무를 하는 의료 종사자
- 자신이 노출되었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개인
의료진과 상담하십시오.
어떠한 진료 환경에서도 주치의가 CDC 권고 사항에 따라 HIV 선별 검사를 권장한다고 해서 놀라지 마십시오. 주치의가 성 관련 문제를 제기하지 않는 경우라면, 당신은 단순히 검사 또는 위험도 평가에 대해 문의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개인정보 보호를 요청하여 검사 또는 상담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Resources & Links
For confidential information, you can call the STDs and HIV/AIDS hotline of the CDC: 800-CDC-INFO (232-4636).
To find a testing site near you, visit National HIV and STD Testing Resources
KidsHealth.org: HIV and AIDS
MedlinePlus: Screening and diagnosis for HIV
Mayo Clinic: HIV/AIDS - Preparing for your appointment
AIDSinfo: HIV Testing
Sources Used in Current Review
Qaseem, A. et al. (2009 January 20). Screening for HIV in health care settings: A guidance statement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and HIV Medicine Association. Annals of Internal Medicine. Available online at http://annals.org/aim/article/744218/screening-hiv-health-care-settings-guidance-statement-from-american-college. Accessed 11/6/2016.
(2011 October 31). The pediatrician's role in preventing HIV infection.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Available online at https://healthychildren.org/English/news/Pages/The-Pediatricians-Role-in-Preventing-HIV-Infection.aspx. Accessed 11/6/2016.
(2013 April).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infection: Screening.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Available online at https://www.uspreventiveservicestaskforce.org/Page/Document/UpdateSummaryFinal/human-immunodeficiency-virus-hiv-infection-screening. Accessed 11/6/2016.
(2015 May 27). Press release: Starting antiretroviral treatment early improves outcomes for HIV-infected individual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Available online at https://www.nih.gov/news-events/news-releases/starting-antiretroviral-treatment-early-improves-outcomes-hiv-infected-individuals. Accessed 11/6/2016.
(Updated 2016 January 22). Working in healthcare and HIV. AVERT. Available online at http://www.avert.org/hiv-transmission-prevention/working-healthcare. Accessed 11/6/2016.
(2016 May 23). Recommendations for HIV prevention with adults and adolescents with HI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cdc.gov/hiv/guidelines/personswithhiv.html. Accessed 11/6/2016.
(2016 October 27). HIV and AIDS: Testing.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vailable online at https://www.cdc.gov/hiv/basics/testing.html. Accessed 11/6/2016.
(2016 June 20). HIV testing.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vailable online at https://www.cdc.gov/hiv/testing. Accessed 11/6/2016.